파이코인 비밀 프로젝트 성공 견인할까?(스텔스 프로젝트)
파이코인 비밀 프로젝트 성공 견인할까?(스텔스 프로젝트)
파이코인 스텔스 프로젝트
파이보틀
오늘 다오월드님이 올려주신 영상을 보고
스텔스 프로젝트 관련
매우 흥미로운 내용이 있어서 저도 찾아보았습니다.
아래는 다오월드님의 영상입니다.
영상의 내용의 바탕은 파이코인 공식홈페이지
블로그란에 새롭게 올라온 글을 바탕으로 한 이야기입니다.
본문이 궁금하신 분들은 아래 링크를 따라가 보세요.
Utilities Creation on the Platform Level
Pi Network Start mining. Easy as Pi!
minepi.com
- 파이 공홈 관련 글 -
파이 네트워크 웹사이트의 블로그 글은 해당 플랫폼이 암호화폐 혁명의 선두에 서 있으며, 독특한 모바일 채굴 방식과 4,700만 이상의 회원으로 이루어진 거대한 커뮤니티 뿐만 아니라, 생태계 내에서 실용적인 유틸리티를 창출하는 데 대한 깊은 헌신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파이 네트워크는 모바일 채굴이라는 간단하지만 강력한 혁신을 통해 암호화폐에 대한 보편적 접근을 확장했습니다. 그 결과로 4,700만 명 이상의 참여 멤버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접근성 외에도 유틸리티는 우리 파이 네트워크의 또 다른 중요한 목적입니다. 접근성은 "경제적 상황과 지식 장벽에 관계없이 전 세계 사람들이 실제로 소유함으로써 암호화폐 혁명에 어떻게 접근할 수 있을까?"라는 질문에 답하며, 유틸리티는 "암호화폐가 일상적인 사람들의 삶에 실제로 긍정적인 변화를 어떻게 가져올 수 있을까?"라는 질문에 대답합니다.
기사에서는 Fireside Forum 앱, Chat 앱의 Staked DM 기능, 지역 상품 및 서비스에 대한 Pi 직불 지불에 사용되는 지갑 앱, 커뮤니티에서 필수적인 유효성 검사 작업을 크라우드소싱하는 KYC 앱 등 다양한 형태의 유틸리티를 만들었다고 소개합니다. 또한 앱은 Pi 암호화폐의 다양한 유용성을 통해 네트워크에 다양한 유틸리티를 창출하는 혁신적인 통합을 통해 우리 삶을 더욱 풍요롭게 만들 수 있습니다.
기사에서는 "플랫폼 수준의 유틸리티"라는 개념을 소개하며 앱뿐만 아니라 플랫폼 전반에서 유틸리티를 창출할 수 있는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이는 커뮤니티 규모, 참여도, 디지털 신원 및 분산된 컴퓨터 노드와 같은 집단 자원을 활용하여 Pi 암호화폐의 유틸리티를 디자인하고 만들 수 있다는 것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파이 커뮤니티가 보유한 집단적 자원을 고려할 때, 어떻게 이를 모든 파이오니어가 보유하게 될 Pi의 전 네트워크 유틸리티로 전환할 수 있을까라는 질문이 플랫폼 수준의 유틸리티 창출에 중요하게 작용합니다. 글에 따르면, 이러한 플랫폼 수준의 유틸리티 창출을 위해 핵심 팀은 비전 수립, 연구, 디자인, 구축뿐만 아니라 앱 수준의 유틸리티 창출에 대한 다양한 커뮤니티 개발자를 지원하는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기사에는 Roadmap v2에서 언급된 개발자 플랫폼 및 도구 섹션에서 현재 스텔스 모드로 설계 및 테스트 중인 플랫폼 수준의 유틸리티에 대한 스텔스 프로젝트가 소개됩니다. 이 스텔스 프로젝트는 파이 암호화폐의 전체적인 유틸리티를 향상시키고 생태계 내의 Pi 앱의 지속 가능성을 지원하기 위한 것으로 기대됩니다. 이 프로젝트의 구체적인 내용을 곧 공개할 예정이라고 되어있습니다.
- 블로그 글 요약 내용 -
파이네트워크의 목적은 크게 2가지입니다.
1. 접근성
접근성이란
"경제적 상황과 지식 장벽에 관계없이 전 세계 사람들이 실제로 소유함으로써 암호화폐 혁명에 어떻게 접근할 수 있을까?"라는 질문에 답하는 것이고
2. 유틸리티
유틸리티는 "암호화폐가 일상적인 사람들의 삶에 실제로 긍정적인 변화를 어떻게 가져올 수 있을까?"에 대한 답입니다.
이 글에서는 두번째 목적인 유틸리티에 대해 포커싱하여 이야기합니다.
유틸리티에도 2가지 종류가 있다고 설명합니다.
1. 앱 수준의 유틸리티
이미 파이 코어팀이 출시했던 채팅앱, KYC앱, 파이어사이드 포럼 등 앱 수준의
유틸리티 등이있고,
2. 플랫폼 수준의 유틸리티
더 나아가 단순하게 하나의 목적(앱)이 아닌 파이라는 전체적인 플랫폼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것.
바로 플랫폼 수준의 유틸리티가 있습니다.
스텔스 프로젝트
끝 부분에 아주 흥미로운 얘기가 나오는데요.
파이 코어팀은 현재 플랫폼 수준의 유틸리티에 관련된
스텔스 프로젝트를 진행 중이라고 합니다.
이 프로젝트는
파이 암호화폐의 전체적인 유틸리티를 향상시키고 생태계 내의 Pi 앱의 지속 가능성을 지원하기 위한 것.
이라고 하는데요.
이미 테스트 중이라니까 개발은 완료 된것 같습니다.
이른 시일내에 이 스텔스 프로젝트를 공개한다고하니
우리 파이네트워크에 어떠한 영향을 끼칠지
더욱 큰 성공으로 이끌어줄지 기대가 되는 부분입니다.
곧 있을... 3월 14일 파이데이에
늦으면 6월 28일 파이2데이에 공개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아직 파이코인에 가입하지 않으셨다면
아래 링크를 따라가세요!
파이코인 채굴, 가입 방법(KYC 인증 된 추천인)
초대코드 : inclusive2020 (소문자로 입력) 저 파이보틀은 이미 KYC를 진행하였기 때문에 만약 저를 추천인으로 등록하시면 나중에 코인 소각될 걱정은 안하셔도 됩니다 1. 전 세계 2,500만명이 선택
pigame.tistory.com
파이코인 KYC 출시 ! 방법 및 관련 내용 총정리(2021년 10월 29일)
파이코인 KYC 드디어 출시 방법 및 관련 내용 총정리❤️ Pilot KYC Solution 파이보틀 오늘 아침 파이코인 앱을 딱 열었더니 공지화면이 바뀌어있는데 기분이 매우 좋았습니다. 오늘 2021년 10월 29일의
pigame.tistory.com